로고

용대리 황태마을
HOME 공지사항
  • 황태마을 스토리
  • 황태이야기
  • 황태마을 스토리

    황태는 하늘이 내린다

    황태 이야기

    황태에 얽힌 이야기

    한랭한 고원지역에서 낮에는 녹고 밤에는 얼어

    용대리 마을에서 생산되는 최상급 황태 '노랑태'

    • HWANGTAE STORY 01
      명태 이름
      상태에 따른 명태 이름
      생태 - 싱싱한 생물 상태 / 동태 - 얼린 것 / 북어 또는 건태 - 말린 것 / 황태 - 얼고 녹기를 반복해 노랗게 변한 것 / 백태 - 하얗게 말린 것 / 흑태 - 검게 말린 것 / 깡태 - 딱딱하게 마른 것

      잡는 방법 및 지방
      北魚 - 북방 바다에서 잡힌 것 / 망태 - 그물로 잡은 것 / 조태 - 낚시로 잡은 것 / 강태 - 강원도 연안에서 잡은 것 / 왜태 - 함경도 연안에서 잡힌 작은 명태
      학 명 Theragra chalcogramma
      영 명 Yellow Alaska Pollack
      일 명 Suketoudara
      한 명 無太魚, 明太


    • HWANGTAE STORY 02
      황태 이름
      백 태 건조시킬 때의 날씨가 너무 추워서 색깔이 하얗게 된 것을 말한다.
      찐 태 백태와 반대로 날씨가 따뜻해서 색깔이 검게 된 것을 먹태 또는 찐태라한다.
      파 태 머리나 몸통에 흠집이 생기거나 일부가 잘려 나간 것을 말한다.
      무두태 머리를 잘라내고 몸통만이 걸어 건조시킨 황태를 말한다.
      통 태 작업 중에 실수로 내장이 제거되지 않고 건조된 것을 말한다.
      낙 태 건조 중 바람에 의해 덕대에서 땅바닥으로 떨어진 것을 낙태라고 한다.


    • HWANGTAE STORY 03
      우리나라 황태의 역사
      이만영(李晩永)의 「재물보(才物譜」에 북해에서 나기 때문에 '북어'라고 한다고 하였고, 조선시대 대표적인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함경도 경성의 토산(土産)조에 '명태'로 추정외는 '무태어(無太魚)'라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래전부터 한반도 북해 등지에 명태가 생산된 것을 알 수 있음.
      조선후기 이유원(李裕元)의 문집인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명천'에 태씨 성을 지닌 어부가 있었는데, 어떤 물고기를 낚아 주방일을 맡아보는 관리로 하여금 도백에게 바치게 하였던 바, 도백이 이를 아주 맛있게 먹은 후에 고기 이름을 물으니 모두 알지 못하였다. 그래서 도백이 태씨라는 어부가 잡은 것이니 명태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그로부터 이 물고기가 아주 많이 잡혀 전국에 넘쳤고, 북어라고 부르게 되었다. "라고 소개하고 있음.
      명태라는 명칭은 「승정원일기」효종 3년(1652)의 기록에서 강원도에서 진상하는 대구 어란(漁卵)에 명태 어란이 첨입(添入)되어 있어 문제로 삼았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강원도 등지의 동북 해안에서도 명태가 많이 생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우리나라 황태의 유래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려우나, 예로부터 함경도 지역에서 생산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지역 방언으로는 황태를 '노랑태'라고 부른 것으로 알려져 있음.

    • HWANGTAE STORY 04
      인제용대황태의 역사성
      황태는 주로 우리나라 북부지방인 함경도 지방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전쟁 이후 함경도 청진, 원산에서 황태덕장을 하던 피난민들이 휴전선 부근인 인제, 속초 등의 강원도 지역에서 터전을 닦게 되면서 함경도 지방과 날씨가 흡사한 인제군 북면 용대리 지역에서 덕장을 설치하면서부터 황태단지가 형성되었음.
      현재 인제 용대황태 덕장은 용대 1리~3리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미시령 아래 지역인 용대 3리에 황태단지가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음.
    • HWANGTAE STORY 05
      황태는 하늘이 내린다
      황태는 명태의 또다른 이름이지만 수많은 명태의 명칭 중에 둘째라면 서럽다. 명태를 섭씨 영하 10도 이하의 한랭한 고원지역에서 낮에는 녹고 밤에는 얼면서 겨우내 덕장에서 서서히 제살을 불리고 이듬해 봄바람에 마른 것을 황태라 한다.
      식탁에 오르기 까지 서른 세번 손이 가야 하고 맛의 80% 이상을 하늘이 결정한다는 황태. 그래서 사람들은 ‘황태는 하늘이 내린다’고 한다.
    • HWANGTAE STORY 06
      인제용대황태가 만들어지기까지
      전국 황태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인제용대황태는 냉동 원료명태를 이용하여 12월 중순에서 1월 사이에 상덕작업 한 후 약 3~4개월 건조기간을 거친 후 생산되는데, 날씨가 춥고 일교차가 큰 용대리 지역의 지리적 특성으로 속살이 부드럽고 맛과 향이 우수한 인제용대황태 생산이 가능함.
    • HWANGTAE STORY 07
      청빙한 겨울의 까다로운 건조 조건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백담사 입구에서 진부령 길과 미시령 길이 갈라지는 용대삼거리까지의 북천강변 3km 일대에는 매년 겨울이면 300평에서 4000평까지 모두 20~30개의 크고작은 황태덕장이 선다. 황태덕장 주인들의 말을 빌면, 제대로의 황태가 되려면 우선 콧속이 쩍쩍 달라붙도록 추워야 한다.
      덕에 건 뒤 3개월간 얼고 녹기를 거듭해야 하는데, 이 용대리 일대는 바로 그렇게 매년 매서운 추위가 닥치는 곳이다. 추운 한편 바람도 잘 통해야 제대로 맛이 든다. 그러므로 툭하면 안개에 잠기는 깊은 산골 또한 덕장으로는 불합격이다. 이곳 백담사 들목∼용대 삼거리 간 골짜기는 널찍하고 동서로 길게 뻗어서 늘 바람이 분다.
      눈도 적당히 와야 알맞게 얼부풀어준다. 한편, 명태의 배를 갈라 각 부위를 해체하는 작업장이 너무 멀어서도 곤란한데, 마침 진부령이나 미시령 고개 넘어 동해안 일대는 이런 작업을 하기에 좋은 해안가 마을이 여러 곳이다. 그러나 그렇게 조건이 맞아도, 제대로 된 황태를 얻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덕장 주인들은 "황태가 사람 입에 들어가려면 서른 세번 손이 가야 하며, 하늘이 그해 황태 사업의 80%를 좌우한다"고 어려움을 말한다.
      진부령 동쪽 거진항 일대의 할복장에서 인부들이 밤샘 작업으로 배를 딴 뒤에는 즉시 걸어야 한다. 거는 즉시 얼지 않으면 물과 함께 육질의 양분과 맛이 함께 빠져 달아나므로 덕에 올리는 날부터 날씨운이 좋아야 한다. 그 뒤로도 3월 초 걷을 때까지 날씨와의 줄다리기가 계속된다.

    • HWANGTAE STORY 08
      최상급 황태 '노랑태'
      완성품 황태, 혹은 노랑태는 말 그대로 노르스름한 색이 껍질과 속살에 돌고, 눌러보면 조금 딱딱한 정도의 스펀지처럼 부드럽다. 이렇듯 방망이로 두들긴 것이 아니라 강원도 특유의 맑은 햇빛과 바람에 의해 3개월간 얼고 녹기를 거듭하며 자연스레 부들부들해진 것이기에 최상급품 황태로 노랑태가 꼽히는 것이다.
      값은 명태 어획량에 따라 매년 크게 달라진다. 용대3리 일대에는 이 황태를 구운 것과 삶은 국물을 내는 황태요리 식당들이 20여 개소 있다.